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대표 정책, 청년도약계좌가 2025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지급되기 시작했다.
가입 조건, 신청 방법, 정부 기여금 구조까지 가장 실용적인 정보만 정리했다.
1. 청년도약계좌란?
정부가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정책형 금융상품이다.
5년간 성실히 납입하면, 본인 납입금 + 정부 기여금 + 이자가 더해져 최대 5,0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구조이다.
2. 가입 조건 총정리
항목 | 가입 기준 |
---|---|
연령 요건 | 만 19세 ~ 34세 (병역 기간 최대 6년 제외 가능) |
개인 소득 |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 | 중위소득 250% 이하 |
기타 조건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1인 1계좌 원칙, 희망적금과 중복 불가 |
3. 신청 방법 & 준비 서류
- 온라인 신청: 우리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등 은행 앱/홈페이지
- 오프라인 신청: 청년도약계좌 취급 은행 창구 방문
필요 서류
- 신분증
- 소득금액증명원 (또는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가구 소득 증명 시)
※ 대부분 은행 시스템에서 자동 조회 가능
4. 납입 구조 & 만기 혜택
- 계약 기간: 5년
- 월 납입액: 1천 원 ~ 70만 원 (자유롭게 선택 가능)
- 이자: 가입 은행별로 다르며, 보통 3년 고정 + 2년 변동 금리 적용
- 세제 혜택: 이자소득 전액 비과세
5. 정부 기여금 구조
연소득 구간월 납입액 기준정부 기여금 (최대)
연소득 구간 | 월 납입액 기준 | 정부 기여금 (최대) |
---|---|---|
2,400만 원 이하 | 70만 원 | 약 45,000원 |
3,600만 원 이하 | 70만 원 | 약 36,000원 |
4,800만 원 이하 | 70만 원 | 약 33,000원 |
6,000만 원 이하 | 70만 원 | 약 22,000원 |
→ 총 수령 예상액: 약 3,000만 원 ~ 5,000만 원
(본인 납입금 + 정부지원 + 이자 포함)
6. 중도 해지 시 주의사항
- 정부지원금 지급 불가
- 비과세 혜택 소멸
- 일부 은행은 중도해지 수수료 발생 가능
→ 최소 3년 이상 유지하는 것이 유리
※정부는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금융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비교해 볼 만한 금융정책을 살펴보고 비교해 보자!
어떤 상품이 나에게 더 유리할지 고민된다면,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을 직접 비교한 글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제테크 &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급 중! 서민금융진흥원 '비대면 생계자금' 신청 조건부터 꿀팁까지 (0) | 2025.05.12 |
---|---|
2025 서울머니쇼, 이렇게 활용하면 투자 감각이 달라진다 (0) | 2025.05.09 |
고교학점제, 결국 폐지 수순? 바뀌는 교육제도에 대한 솔직한 생각 (0) | 2025.05.08 |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나에게 맞는 금융상품은? (2025 비교 가이드) (0) | 2025.05.07 |
2025년 의료급여 제도 이렇게 바뀐다 – 외래진료 과다 이용 시 본인부담금 인상 (0) | 2025.04.27 |